배포를 안전하게 - 카나리 배포, 롤백
배포에서 속도와 안전성 두 마리 토끼를 잡기란 쉽지 않습니다. 이 글에선 버즈빌에선 어떻게 안전성 문제를 해결했는지 소개합니다. 배포를 우아하게 - 원-클릭 배포 배포를 안전하게 - 카나리 배포 전략, 롤백 배포를 빠르게 - DIY(Deploy It Yourself) …
Read Article배포에서 속도와 안전성 두 마리 토끼를 잡기란 쉽지 않습니다. 이 글에선 버즈빌에선 어떻게 안전성 문제를 해결했는지 소개합니다. 배포를 우아하게 - 원-클릭 배포 배포를 안전하게 - 카나리 배포 전략, 롤백 배포를 빠르게 - DIY(Deploy It Yourself) …
Read Article일반적으로 런타임 환경이 늘어날 수록 배포 시스템의 복잡성은 높아지기 마련입니다. 이 글에선 버즈빌에선 어떻게 문제를 해결했는지 소개합니다. 배포를 우아하게 - 원-클릭 배포 배포를 안전하게 - 카나리 배포 전략, 롤백 배포를 빠르게 - DIY(Deploy It …
Read Article이 블로그에서는 Elasticsearch에서 검색할 때 효과적으로 각 Document에 확률을 사용하는 두 가지 방법을 설명하고, 각 방법의 간략한 성능 비교와 장단점을 설명합니다. 독자는 Elasticsearch의 Search API에 간단한 쿼리를 (term, …
Read Articleasyncio를 사용하는 서버라면 graceful shutdown을 할 수 있어야합니다. Eventloop에 task를 등록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graceful shutdown을 하지 않으면 유저 혹은 다른 서버의 요청이 버려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이전 포스 …
Read ArticleClaud는 버즈빌 Ad.Display팀에서 Engineering Manager로 함께하고 있습니다. 전문연구요원으로서 3년간 복무를 마치고, 이후 시니어 개발자로서 다양하게 버즈빌에 기여해주시고 계신데요. …
Read ArticleFuture를 잘 활용하면 단순히 await 하는 용도보다 더 다양한 흐름 제어를 할 수 있습니다. 이전 포스트에서는 asyncio의 핵심 컴포넌트인 코루틴과 Eventloop을 소개했습니다. 이번 포스트에서는 Future를 만드는 방법, Callback을 등록해서 활 …
Read Article이 시리즈의 목적은 asyncio의 컴포넌트들과 활용법을 소개하는 것입니다. 최종적으로는 실제 production에 쓰이고 있는 graceful shutdown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, 그 과정에서 필요한 asyncio 지식을 여러 포스트에 걸쳐 설명할 예정입니 …
Read Article안녕하세요. 버즈빌의 데이터 엔지니어 Raf입니다. 이전 포스팅(DynamoDB를 사용하는 Go 서비스의 응답 시간 최적화 #1 AWS Credential Token)에 이어, Go 서비스에서 DynamoDB를 사용하면서 응답 시간 최적화를 시도한 경험을 공유드리도록 …
Read Article